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상가인테리어28

미장·타일 공사 총정리 – 마감 품질을 결정짓는 기술 1. 미장공사는 마감 품질의 기초가 된다미장공사는 인테리어에서 보이지 않는 기초이자, 마감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공정이다. 공간의 수직·수평을 정리하고, 벽체와 바닥의 균일한 평탄도를 확보하여 이후 도배, 페인트, 타일 등의 마감이 깔끔하게 이루어지도록 기반을 잡아주는 작업이다. 벽체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몰딩·도어·가구 등의 설치에도 정밀한 기준면이 되기 때문에, 단순히 벽을 메우는 작업 이상으로 공정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미장에 사용하는 재료는 시멘트 모르타르, 석고, 백시멘트, 퍼티 등이며, 벽체의 종류(콘크리트, 블록, 석고보드 등)에 따라 선택이 달라진다. 벽면은 일반적으로 1차 미장으로 면을 정리하고, 퍼티 작업을 통해 표면을 평탄하게 만든다. 현장에서는 수직 기준자(레벨기)를 이용.. 2025. 7. 22.
목공·목공사 이해하기 – 가벽, 루바, 몰딩 제작의 기준 1. 목공사가 인테리어 품질을 좌우한다목공사는 인테리어 공정의 중심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철거 이후 공간의 뼈대를 구성하고 구조를 재설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후 공정인 전기·설비·마감 작업까지 원활하게 이어지도록 한다. 주로 가벽 제작, 천장 프레임 시공, 루바와 몰딩, 문틀 및 붙박이장 구조 설계 등이 이에 포함된다. 목공사가 단단하고 정확하게 시공되어야만 전체 인테리어 완성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시공사나 디자이너, 현장 관리자 모두가 이 단계에서의 품질 확보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그 중 가장 빈번하게 진행되는 작업이 가벽이다. 공간을 분리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설치하는 이 가벽은 일반적으로 SPF 구조목이나 LVL 구조재를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석고보드를 양면으로 .. 2025. 7. 22.
인테리어 공사 중 흔히 발생하는 문제와 대처법 현장에서 자주 겪는 이슈와 현실적인 해결 전략 인테리어 공사는 설계, 자재, 시공, 인력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작업이다. 그만큼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확률도 높다. 하지만 문제의 대부분은 사전 준비와 커뮤니케이션만 잘하면 충분히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인테리어 현장에서 실제로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그에 대한 대처 방법을 중심으로,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인사이트를 정리해본다. 1. 일정 지연, 원인 파악과 선대응의 중요성인테리어 공사에서 가장 흔하면서도 치명적인 문제는 바로 공정 지연이다. 전체 공정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으면, 작은 지연도 이후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전기 배선이 늦어지면 섀시 마감이나 도장 작업까지 줄줄이 밀리게 .. 2025. 7. 22.
마감 실리콘 시공의 중요성 –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할까? 1. 실리콘 마감은 ‘보이지 않는 방수’이자 ‘마지막 디테일’이다실리콘 시공은 인테리어의 마지막 단계에서 마감용으로 간단히 처리되는 작업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방수, 기밀, 충격 흡수, 미관을 모두 책임지는 중요한 공정이다. 시공 현장에서 실리콘은 욕실, 주방, 창호, 몰딩, 가구 마감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되며, 제대로 시공되지 않을 경우 물이 스며들거나, 틈새로 먼지와 벌레가 유입되고, 나아가 곰팡이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실리콘은 “틀어짐을 흡수하고, 빈틈을 메우며, 마감을 정리하는” 세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예를 들어 벽과 바닥의 코너 부위는 하중에 의해 뒤틀림이 자주 생기는 구간이다. 이때 실리콘이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재 역할을 하며, 틈을 메워 구조를 안정화시킨다. 또.. 2025. 7.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