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인테리어정보37

장판 시공의 모든 것 – 시공 방법, 장단점, 적용 공간 장판 시공의 모든 것 – 시공 방법, 장단점, 적용 공간장판은 저렴한 바닥재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실제로는 시공 편의성과 단열성, 디자인 유연성까지 갖춘 실용적 자재다. 특히 최근에는 단독 주택, 아파트, 상업 공간 등 다양한 현장에서 장판이 마루를 대체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장판의 종류, 시공 방식, 공간별 적용법, 소비자가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 정리한다.1. 장판은 단순한 저가 마감재가 아니다많은 사람들이 장판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이미지는 '저렴하다', '임대용이다', '오래되었다'일 것이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장판이 경제성, 시공 편의성, 유지관리 용이성, 다양한 디자인 대응 등 여러 장점을 가진 바닥 마감재로 널리 사용된다.특히 최근에는 장판이 단순한 임시 마감.. 2025. 7. 23.
도장·도배 공사의 차이와 선택 기준 1. 도장과 도배, 마감 방식이 다른 이유인테리어에서 벽체 마감은 공간의 인상을 결정짓는 가장 눈에 띄는 요소 중 하나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도장과 도배다. 겉으로 보기엔 단순히 ‘페인트칠이냐 벽지냐’의 선택처럼 보이지만, 실무적으로는 공정 방식, 사용 자재, 적용 공간, 유지관리 방식까지 전혀 다른 마감 공정이다. 도장은 일반적으로 수성페인트, 친환경페인트, 기능성 페인트를 이용해 벽면이나 천장을 칠하는 방식이며, 도배는 합지, 실크, 방염, 친환경 벽지 등 종이나 비닐 계열의 마감재를 풀로 붙이는 방식이다. 도장은 도장면의 질감, 컬러의 깊이감, 곰팡이 차단 기능 등을 강점으로 하며, 도배는 시공 편의성과 다양한 패턴 선택, 벽면 보완 기능 등이 장점이다. 도장은 보통 벽체나 천장의 표면이 .. 2025. 7. 22.
미장·타일 공사 총정리 – 마감 품질을 결정짓는 기술 1. 미장공사는 마감 품질의 기초가 된다미장공사는 인테리어에서 보이지 않는 기초이자, 마감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공정이다. 공간의 수직·수평을 정리하고, 벽체와 바닥의 균일한 평탄도를 확보하여 이후 도배, 페인트, 타일 등의 마감이 깔끔하게 이루어지도록 기반을 잡아주는 작업이다. 벽체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몰딩·도어·가구 등의 설치에도 정밀한 기준면이 되기 때문에, 단순히 벽을 메우는 작업 이상으로 공정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미장에 사용하는 재료는 시멘트 모르타르, 석고, 백시멘트, 퍼티 등이며, 벽체의 종류(콘크리트, 블록, 석고보드 등)에 따라 선택이 달라진다. 벽면은 일반적으로 1차 미장으로 면을 정리하고, 퍼티 작업을 통해 표면을 평탄하게 만든다. 현장에서는 수직 기준자(레벨기)를 이용.. 2025. 7. 22.
목공·목공사 이해하기 – 가벽, 루바, 몰딩 제작의 기준 1. 목공사가 인테리어 품질을 좌우한다목공사는 인테리어 공정의 중심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철거 이후 공간의 뼈대를 구성하고 구조를 재설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후 공정인 전기·설비·마감 작업까지 원활하게 이어지도록 한다. 주로 가벽 제작, 천장 프레임 시공, 루바와 몰딩, 문틀 및 붙박이장 구조 설계 등이 이에 포함된다. 목공사가 단단하고 정확하게 시공되어야만 전체 인테리어 완성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시공사나 디자이너, 현장 관리자 모두가 이 단계에서의 품질 확보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그 중 가장 빈번하게 진행되는 작업이 가벽이다. 공간을 분리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설치하는 이 가벽은 일반적으로 SPF 구조목이나 LVL 구조재를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석고보드를 양면으로 .. 2025. 7.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