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21

인테리어 공사 중 흔히 발생하는 문제와 대처법 현장에서 자주 겪는 이슈와 현실적인 해결 전략 인테리어 공사는 설계, 자재, 시공, 인력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작업이다. 그만큼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확률도 높다. 하지만 문제의 대부분은 사전 준비와 커뮤니케이션만 잘하면 충분히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인테리어 현장에서 실제로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그에 대한 대처 방법을 중심으로,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인사이트를 정리해본다. 1. 일정 지연, 원인 파악과 선대응의 중요성인테리어 공사에서 가장 흔하면서도 치명적인 문제는 바로 공정 지연이다. 전체 공정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으면, 작은 지연도 이후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전기 배선이 늦어지면 섀시 마감이나 도장 작업까지 줄줄이 밀리게 .. 2025. 7. 22.
마감 실리콘 시공의 중요성 –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할까? 1. 실리콘 마감은 ‘보이지 않는 방수’이자 ‘마지막 디테일’이다실리콘 시공은 인테리어의 마지막 단계에서 마감용으로 간단히 처리되는 작업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방수, 기밀, 충격 흡수, 미관을 모두 책임지는 중요한 공정이다. 시공 현장에서 실리콘은 욕실, 주방, 창호, 몰딩, 가구 마감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되며, 제대로 시공되지 않을 경우 물이 스며들거나, 틈새로 먼지와 벌레가 유입되고, 나아가 곰팡이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실리콘은 “틀어짐을 흡수하고, 빈틈을 메우며, 마감을 정리하는” 세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예를 들어 벽과 바닥의 코너 부위는 하중에 의해 뒤틀림이 자주 생기는 구간이다. 이때 실리콘이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재 역할을 하며, 틈을 메워 구조를 안정화시킨다. 또.. 2025. 7. 17.
단열/결로 방지 시공법 – 창호와 벽체 중심으로 1. 단열과 결로는 설계가 아닌 ‘시공’에서 결정된다단열과 결로 방지는 설계 도면 한 장으로 끝나는 일이 아니다. 실제 시공 현장에서 어떻게 마감되고, 어떤 재료가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따라 효과는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특히 겨울철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실내 벽체, 창틀, 천장 모서리에서 결로가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해 곰팡이, 내장재 부패, 건강 문제까지 번질 수 있다. 따라서 단열과 결로 문제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서, 건축물의 내구성과 실거주자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라고 봐야 한다. 시공을 시작하기 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기존 구조체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열화상 카메라나 온습도계를 통해 실내외의 온도 편차가 큰 부위, 이른바 ‘냉기 유입 구간’이나 ‘결로.. 2025. 7. 16.
주방 시공의 핵심 – 상판, 싱크볼, 후드, 수납까지 1. 철거와 배관, 주방 공사의 첫 단추를 정확히 꿰어야 한다주방 시공은 욕실 못지않게 복합적인 공정이 이어지는 공간이다. 기존의 싱크대와 상부장, 벽면 타일, 후드, 가스렌지, 씽크볼, 수도꼭지까지 모두 철거한 후 본격적인 작업이 시작된다. 주방은 배수관, 급수관, 가스배관, 전기선이 모두 집중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철거 단계에서 기존 배관의 위치를 꼼꼼히 확인하고, 설계도와 맞춰야 한다. 철거만 마치고 구조를 바꾸는 작업을 뒤늦게 진행하면 비용과 시간이 배로 들어간다. 또한 싱크대 하부에 곰팡이, 누수 흔적, 배관 누수, 단열 미비 등이 드러날 수 있으므로 철거 이후 슬라브의 습기 상태를 체크하고 필요 시 바닥을 재보강해야 한다. 오래된 주방의 경우 급수·배수관이 벽 안쪽 깊이 매립되어 있어, 레.. 2025. 7. 16.
728x90
반응형